https://youtu.be/L-D_xlAdzXI PARA 정리법 영상 11분 18초
https://cafe.naver.com/notionsecondbrain/232 필독 공지
위의 링크들에서도 설명하지만, 노션에서 만든 세컨드 브레인과 기존 폴더 형식 세컨드 브레인은 운영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PARA 정리법 영상의 처음 부분에는 일반적인 폴더 형식 세컨드 브레인을 우선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노트들을 움직인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하지만 노션에서는 노트를 움직일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노션에서 자료들은 상하위 위계가 아닌 동등한 관계형이고 하나의 노트가 여러 개의 프로젝트/영역/자원/아카이브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두 가지 방식의 세컨드 브레인 운영 방식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폴더 형식 세컨드 브레인 운영>
(옵시디언, 윈도우, 에버노트)
1. 할 일, 노트 등 자료를 수집한다.
2. 프로젝트, 영역, 자원, 아카이브를 찾아다니며 넣는다. (시간 걸림)
3. 프로젝트 위주로 할 일을 진행한다.
4.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그 안에 파일들을 다른 폴더로 분배한다. (시간 걸림)
5. 완료된 프로젝트 폴더는 아카이브로 넣는다. (시간 걸림)
<노션에 구현한 세컨드 브레인 OS 운영>
1. 할 일, 노트 등 자료를 수집한다.
2. 수집한 것을 명료화한다.
(명료화가 되는 순간 자동으로 자료들이 필요한 위치로 가게 됨. CODE의 추출 + 정리의 과정)
3. 프로젝트 위주로 할 일을 계획 및 진행한다.
4.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완료하기’ 버튼을 누른다.
(완료된 프로젝트는 자동으로 ‘아카이브’페이지에 표시, 연결된 노트는 옮기지 않아도 됨. 노트가 여러 곳에 동시에 존재 가능)
제가 폴더 형식 세컨드 브레인을 사용하며 불편했던 것들을 개선하여 노션에 적용 시킨 것이 세컨드 브레인 OS입니다.